본문 바로가기
목소리

스테이블 코인이 뭐지?

by Condemiang 2025. 7. 10.
반응형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안정된 코인’이라는 뜻 그대로, 미국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나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 (Pegging) 되어 설계된 암호화폐 (가상자산)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가격이 급등락하는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가치의 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마치 실제 달러를 디지털 지갑에 옮겨 놓은 것처럼 결제, 송금, 자산 저장, 투자, 디지털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되며,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다섯 개의 주요 스테이블코인 로고가 나란히 배열된 이미지. 왼쪽부터 TerraUSD(UST), USD Coin(USDC), Tether(USDT), Binance USD(BUSD), Dai(DAI)를 상징하는 원형 로고가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음. 검은 배경 위에 각 코인의 상징이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있음.

 

주요 기능

1. 디지털 결제 수단:

일반적인 암호화폐는 가격이 불안정해서 일상 결제에는 부적합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은 언제나 1달러 수준을 유지하므로 실생활에서 물건을 사고팔거나 온라인 쇼핑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2. 국경 없는 송금 수단:

은행 없이도 스마트폰만으로 몇 분 안에 전 세계로 송금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도 훨씬 저렴하고, 환율 계산 없이 달러로 바로 보내고 받을 수 있습니다.

3. 디파이 (DeFi, Decentralized Finance)* 금융의 핵심 자산:

디파이 (DeFi)란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말하는데, 여기서 스테이블코인은 예금, 대출, 투자에 사용되는 디지털 통화의 기준점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USDC 스테이블 코인을 맡기고 이자를 받거나, DAI (Decentralized Autonomous Issuance) 스테이블 코인을 담보로 다른 코인을 빌릴 수 있습니다.

4. 위험 국가에서의 대체 화폐:

인플레이션이나 통화 불안정이 심한 국가에서는 사람들이 자국 화폐 대신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디지털 달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은행 없이도 안정된 자산을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습니다.

*DeFi (Decentralized Finance)
은행 없이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예금, 대출, 투자 등 금융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입니다. DeFi 플랫폼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맡기고 이자를 받거나, 유동성을 공급해 보상을 얻는 구조로 작동합니다.

 

종류 및 비교

이름 발행 주체 담보 방식 연동자산 특징 장점 단점
USDT
(Tether USD Token)
Tether
Limited
법정화폐 담보 USD 가장 널리 사용됨 유동성 최상 투명성 부족
USDC
(Circle USD Coin)
Circle &
Coinbase
법정화폐 담보 USD 규제 친화적, 감사 실시 신뢰도 높음 중앙화 우려
BUSD
(Binance USD)
Binance + Paxos 법정화폐 담보 USD NYDFS** 승인 규제 기반 발행 중단
(2023)
DAI
(Decentralized Auto-nomous Issuance)
MakerDAO 암호자산 담보 USD 탈중앙화, DAO 운영 스마트컨트랙트 자동화 복잡성,
ETH 변동성 영향
FRAX
(Frax Protocol USD)
Frax
Finance
하이브리드 USD 부분 담보 + 알고리즘 유연한 설계 실험적,
구조 복잡
TUSD
(TrueUSD)
TrustToken 법정화폐 담보 USD 실시간 준비금 공개 투명성 ↑ 거래소 의존성 ↑
USDP
(Pax Dollar)
Paxos 법정화폐 담보 USD 뉴욕 규제기관 승인 안전성 우수 대중성 낮음
UST
(TerraUSD)
Terraform
Labs
알고리즘 기반 USD 루나 연동, 붕괴 사례 빠른 확장성 시스템 붕괴 경험
(2022)

 

**NYDFS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Financial Services)
미국 뉴욕주 금융감독청. 은행, 보험사, 금융기관, 핀테크 기업, 가상자산 기업 등에 대한 감독, 면허 발급 및 취소, 소비자 보호 및 금융범죄 단속, 사기, 자금세탁(AML), 테러자금 조달 방지(CFT) 규제 등의 업무 수행.

 

담보 방식별 분류

스테이블코인은 가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로 ‘담보’를 설정합니다.

 

1.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 실제 달러, 유로, 엔화 등의 실물 화폐를 은행 계좌에 예치
  • 예시: USDT (Tether), USDC (Circle), BUSD (Binance), TUSD (TrueUSD), USDP (Paxos Dollar)
  • 장점: 안정성, 규제 친화성
  • 단점: 중앙화, 은행 의존, 감사 불확실성 가능

2. 암호자산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 이더리움(ETH), 랩드 비트코인(WBTC) 등 암호화폐를 초과 담보로 맡겨 발행
  • 예시: DAI (MakerDAO)
  • 장점: 탈중앙화,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 단점: 복잡성, 담보 자산의 가격 변동 리스크

3. 알고리즘 기반 또는 하이브리드

  • 실물 자산 없이 알고리즘으로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치를 유지하거나, 일부만 담보를 유지하는 혼합형 구조
  • 예시: UST (TerraUSD – 붕괴 사례), FRAX (Frax Protocol)
  • 장점: 확장성, 담보 자산 불필요
  • 단점: 시장 신뢰에 의존, 실패 가능성 높음

 

스테이블코인의 가격은 정말 1달러에 고정돼 있을까?

스테이블코인은 1달러에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실제 거래소에서는 약간의 오차가 존재합니다. 이는 수요와 공급, 유동성, 발행 구조 등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스테이블코인 실거래 평균 가격 범위

  • USDT $0.998 ~ $1.002
  • USDC $0.999 ~ $1.001
  • DAI $0.995 ~ $1.005
  • UST (붕괴 전) $0.90 ~ $1.10 → 이후 붕괴

결론

스테이블코인의 ‘1:1 고정’은 설계 목표일 뿐, 실제 시장에서는 $0.995~$1.005 정도의 소폭 오차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이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1달러’로 간주됩니다.
단, 신뢰가 무너지면 페깅 시스템 전체가 붕괴할 수 있음을 UST 사건(2022)***이 보여줬습니다.

***UST 사건(2022)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UST (TerraUSD)는 루나(LUNA)와의 연동 구조를 통해 1달러 가치를 유지하려 했으나, 2022년 5월 대규모 매도와 구조적 결함으로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며 1달러 페깅이 붕괴. 이로 인해 루나 가격도 폭락하며 시가총액 약 40조 원이 증발,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의 신뢰도에 치명타를 입힌 사건.

 

스테이블코인의 문제점

1. 투명성 부족

일부 발행사는 예치 자산에 대한 감사나 실시간 공개에 미온적입니다. 대표적으로 USDT는 장기간 회계 투명성 논란이 있었습니다.

2. 중앙화 리스크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은행 계좌 폐쇄, 발행사 파산 등의 리스크에 노출됩니다.

3. 알고리즘형의 불안정성

UST는 알고리즘 구조로 인해 소각-발행이 통제되지 못하면서 붕괴했고, 투자자 수십만 명에게 피해를 줬습니다.

4. 규제 공백

국가마다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법적 정의가 다르며, 일관된 규제가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 보호나 투자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합니다.

5. CBDC와의 경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등장함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통제력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일부 국가는 민간 코인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규제와 신뢰를 중심으로 재편된다


1. 규제 수용형만 생존

  • USDC, USDP처럼 회계 감사, 실시간 보고, 라이선스를 갖춘 코인만 생존 가능
  • ‘지니어스법(Giancarlo Proposal)****’ 같은 미국 기반 규제안도 등장
****지니어스법 (Giancarlo Proposal)
지니어스법(Giancarlo Bill)’은 정식 명칭이 ‘Stablecoin Innovation and Protection Act’ 또는 ‘Giancarlo Proposal’로 알려진 미국 내 스테이블 코인 규제안 또는 정책 초안. 이 법안은 전 CFTC 위원장이었던 크리스토퍼 지안카를로(Christopher Giancarlo)가 추진한 규제 프레임워크로, ‘디지털 달러 프로젝트(Digital Dollar Project)’와도 연계되어 있음.
주요 내용:
1. 스테이블코인을 금융 인프라로 인정: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지급 결제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마련
2. 담보 투명성 강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자는 실시간 준비금 보고와 외부 감사를 의무화
3. 민간 주도의 혁신 보장: 기술 혁신을 저해하지 않도록 과도한 규제 회피. 동시에 사용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을 담보
4. CBDC (디지털 달러)와의 병용 및 공존 허용
5. 미국 달러 패권 유지 전략: 미국 내 스테이블 코인 기반 결제를 장려해 달러화 디지털 영향력 확대 추구


2. CBDC와의 공존 또는 대체 경쟁

  • CBDC는 국가 발행, 스테이블코인은 민간 발행이라는 차이
  • 기술적 유연성과 확장성은 여전히 스테이블코인의 강점

3. DeFi와 Web3*****의 핵심 기축통화로 고착

  • 담보 자산, 이자 수익, 대출 거래 등에 사용되며 금융 인프라 중심으로 작동
*****Web3 (웹3)
인터넷의 차세대 진화 단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중앙화된 플랫폼에서 벗어나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인터넷을 지향함.
- Web1 (1990s~ ): 읽기 전용 (Read-only) 인터넷 (예: 네이버 초기, 야후 디렉터리)
- Web2 (2000s~ ): 읽고 쓰는 (Read & Write) 참여형, 중앙 플랫폼 중심 (예: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
- Web3 (2018~ ): 읽고 쓰고 소유하는(Read, Write, Own) 웹, 탈중앙화 지향 (예: 이더리움, NFT, 디파이, DAO 등)

햭심 개념
1.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와 권한이 특정 서버가 아닌 분산된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누구도 마음대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조작할 수 없음
2. 탈중앙화 (Decentralization):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기업이 아니라 사용자와 커뮤니티가 통제 (예: Lens, Farcaster 등)
3. 자산의 소유 가능 (Own): NFT, 토큰, 가상화폐 등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개인이 직접 소유하거나, 내 게시글이 플랫폼 소유가 아니라 진짜 '내 것'이 되는 구조  
4. DeFi (Decentralized Finance, 탈금융): 은행 없이 블록체인 상에서 대출, 이자, 투자 가능 (예: MakerDAO, Aave, Uniswap 등)
5.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 자율 조직): 전통적 회사 대신, 스마트컨트랙트와 투표로 운영되는 커뮤니티형 조직


4. 신흥국에서의 디지털 달러 역할

  • 자국 통화가 불안정한 국가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실질적 안전 자산이자 통화 대체 수단이 되고 있음

5. 로컬 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등장

  • KRWb(원화), JPYC(엔화), EURS(유로화) 같은 지역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도 성장 중

 

맺음말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가상자산을 넘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화폐 인프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가격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결제, 송금, 투자, 디파이 등 실생활과 금융의 접점을 넓히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규제, 투명성, 시스템 리스크라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신뢰성과 법적 기반을 갖춘 스테이블코인만이 지속적으로 생존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영어 버전: https://condepark.blogspot.com/2025/07/what-is-stablecoin.html

반응형

'목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고 살기가 어려워진 이유  (6) 2025.07.04
막스 베버를 읽으며, 오늘의 교회를 돌아보다  (2) 2025.07.01
쓰레드  (2) 2025.07.01
출산율?  (2) 2025.07.01